안녕하세요, 토마스 박입니다. 오늘은 미주 한인 경제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특히 이민 1세대가 주로 경영하는 소규모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2012년 백악관의 미주 한인 지도자 초청 국정 브리핑에서 언급되었듯이, 미주 한인사회의 경제 규모는 세계 65위 국가와 맞먹는 수준입니다. 이는 한인 이민자들의 근면 성실함과 기업가 정신이 만들어낸 놀라운 성과입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팬데믹과 급속한 디지털화로 인해 전통적인 소규모 비즈니스들이 큰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세탁업, 식당업, 뷰티 서플라이, 네일숍 등 한인 1세대들이 주로 운영하는 업종들이 특히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세탁업의 경우, 재택근무 증가로 인한 수요 감소와 온라인 세탁 서비스의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식당업 역시 배달 앱의 보편화와 대형 체인점과의 경쟁으로 인해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뷰티 서플라이와 네일은 온라인 쇼핑 증가와 홈케어 트렌드로 인해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들 업종은 차별화된 서비스와 디지털 마케팅 전략 도입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위기 속에서도 기회는 존재합니다. 한인 커뮤니티의
미국 경제가 2024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연준(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소비 둔화와 고용 시장 변화 등 다양한 경제 지표들이 혼조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먼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서 연준이 하반기 중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는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입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 시기와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어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경제 불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기조와 인플레이션 부담으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 시장과 자동차 판매 등 내구재 소비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경기 하강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고용 시장도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최근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기업들의 비용 절감 노력과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신규 채용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발전으로 인한 구조적 실업 증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토마스 박입니다. 오늘부터 '미국 경제 인사이트'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연재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미국 경제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통찰을 나누고자 합니다. 경제는 우리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복잡해 보이는 경제 현상들을 쉽게 풀어내어, 독자 여러분께서 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현명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금리, 고용, 소비 등 다양한 경제 지표들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경제를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리며, 의미 있는 대화가 오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미국 경제 인사이트'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토마스 박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