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 파인더 프로(SpyFinder® Pro)는 육안으로 감지할 수 없는 모든 몰래카메라를 신속하게 찾아내는 사용이 간편한 개인 휴대용 숨겨진 카메라 렌즈 감지기이다. SpyFinder Pro는초경량 LED를 사용하여 카메라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숨겨진 카메라의 렌즈는 광선으로 비추고 SpyFinder Pro 뷰 파인더를 통해 빛을 비추면 깜박이는 밝은 점으로 표시된다. 사용 방법은 전원 버튼을 옆으로 누르고 뷰파인더를 통해 보면, 가장 작은 카메라 렌즈에서 튀어나오도록 설계된 6개의 특수 밝은 빨간색 LED 스트로브 라이트가 활성화된다. 이 작은 카메라 렌즈는 카메라 렌즈 자체의 반사로 사용자에게 깜박 거리는 것처럼 보이며 주변 지역을 스캔할 때 즉시 숨겨진 카메라의 위치를 알려준다. 또한 카메라가 어디에 있는지 알면 즉시 조치를 취하여 무단 녹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조사인 SpyAssociates.com은 1999 년부터 공공 및 정부에 감시 및 개인 정보 보호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최첨단 보안 기술로 자신 및 사랑하는 사람들과 기업을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SpyFinder Pro 판매가는
똑똑한 간식 습관'을 지향하는 푸드테크 스타트업 '스낵포'가 퓨처플레이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고 17 일 밝혔다. 스낵포는 맞춤형 간식 큐레이션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홈페이지에서 선호하는 맛, 예산, 용도처럼 간단한 질문에 답하는 것으로 주문을 완료하고, 스낵포는 이를 바탕으로 빅데이터와 전문 큐레이터가 간식을 큐레이션 한다. 투자를 유치한스낵포는 향후 AI 간식 큐레이션 시스템을 기반으로 큐레이션 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퓨처플레이 권오형 파트너는 "스낵포의 서비스를 경험한 고객들이 다른 고객을 소개해 주는 등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점, 그리고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팀의 역량에 주목했다"고 전했다. 스낵포 이웅희 대표는 "간식을 즐기는 데 필요했던 모든 불편함을 없앤 새로운 간식 습관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 스낵포 :https://www.snackfor.com/
유브이알이 16일 일본 NTT 커뮤니케이션스(NTT Communications)의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Open Innovation Program)에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한국 기업으로는 유브이알이 유일하다. NTT 커뮤니케이션스는 일본 최대 규모의 통신사인 NTT의 자회사다. 약 10만 평이 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센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190개 국가 및 지역에 ICT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NTT 커뮤니케이션스는 지난 몇 달간 ⧍P2P 통신을 통한 로봇 원격 조종 ⧍데이터 센터 시설 관리 자동화 ⧍스포츠 테크 ⧍무선 중계소 시설 공간 활용 등 4개의 테마에 대해 기업들의 신청을 받아 특화된 역량을 보유한 6개의 파트너를 결정했다. 유브이알은 이 중 ‘데이터 센터 시설 관리 자동화’ 테마 부분에 선정됐다. 유브이알은 올해 말 사업화를 목표로 NTT 커뮤니케이션스와 기술검증(PoC, Proof of Concept)을 시작한다. 기술 테스트, 마케팅 과정 등을 거쳐 8월 29일 열리는 성과보고회를 통해 준비해온 기술을 선보인다. 3D 이미지 생성 및 VR 처리 기술을 보유한 유브이알은 공간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시설관리 고객에 특
유아전동차 제조 전문기업 디트로네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NHN인베스트먼트, 이노폴리스파트너스, DSC인베스트먼트, 헤이스팅스자산운용 등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누적금액 135억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디트로네는 세련되고 클래식한 디자인을 갖춘 유아용 프리미엄 전동차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적인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다. ‘디트로네S’는 1900년대 영국의 클래식 자동차를 기반 디자인으로 심미성과 ,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도록 안정성과 활용성, 내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업계에서는 디트로네의 투자유치의 배경에는 기존 전동차와는 다르게 부모도 동시에 탑승할 수 있는 ‘액티브모드’, 아이가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캐주얼 드라이브 모드’, 수동으로 조정 가능한 ‘유모차&크루즈 모드’를 지원하는 기능적인 관점과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의 해외바이어들을 통한 수출계약 체결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판매가능성을 입증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디트로네 관계자는 “디트로네의 제품은 단순 유아용 전동차가 아닌,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치를 지녔다”며” 앞으로도 디트로네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써의 가치를
Dreampad 소개 영상 Integrated Listening Systems (iLs)사는 2007 년 콜로라도 주 덴버 기반으로 설립된 뇌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음악, 운동 및 언어 연습을 체계적으로 통합 한 최초의 신경 기술 회사로, 그들의2012년에 출시된제품인 Dreampad는 처음에는 트라우마와 자폐증 등 불안감이 높은 어린이들을 위한 치료 도구로 출시되었다. 그 후 컬럼비아 대학 등의 연구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현재는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잠을 더 잘 자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뉴 드림 패드(NEW Dreampad)는 슬림한 독립형 패드로, 어떤 크기의 베개 케이스에도 넣을 수 있어 집, 호텔, 자동차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패드는 뼈 전도 기술(bone conduction technology)의 장점을 사용하여 음악을 내이(inner ear)에 바로 전달한다. 사용자들은 그들의 재생목록을 듣는 동안, 몸의 자연적인 이완 반응을 동시에 촉발시켜 스트레스를 풀게 하고,사용자가 더 빨리 잠들고 더 오래 자는 데 도움을 준다. NEW Dreampad는 현재 Kickstarter에서 모금 캠페인 중이며 목표금액 $30,000
오프라인 원데이 클래스 플랫폼 '솜씨당’을 운영하는 ‘솜씨당컴퍼니’가 초기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매쉬업엔젤스'와 네이버 계열 벤처캐피털 스프링캠프로 부터 시드 투자 유치를 했다고 10일 밝혔다. 솜씨당 컴퍼니는 2013년 네이버 자회사 ‘캠프모바일’에 인수합병된 ‘㈜아이커넥트’를 창업한 정명원 대표와 핵심 멤버들이 함께 설립한 회사다. 아이커넥트에서 폰 테마샵, 도돌런처 등을 운영하며 M&A를 진행한 이력과 연쇄 창업까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실력이 검증된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기반 종합 플랫폼을 만들자는 비전으로 2018년 오프라인 원데이 클래스 플랫폼 ‘솜씨당’을 정식 출시했다. 솜씨당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중심으로 공방과 클래스의 상세한 정보와 후기를 제공하며 예약, 구매까지 가능하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블로그와 SNS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던 클래스와 공방의 한정된 정보와 기존의 불편했던 예약 시스템을 해결해준다. 서비스 출시 3개월 만에 누적 클래스 1,000개 돌파, 월 매출 1000만 원 이상의 작가(클래스)를 배출하고 있다. 한편 이번 투자를 진행한 매쉬업엔젤스이택경 대표는 "최근 소확행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을
딥러닝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수아킷(SuaKIT)을 생산하는 수아랩이 190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시리즈 C 투자 유치 성공으로 수아랩 누적 투자 금액은 314억 원에 이르러 역대 최대 규모다. 이번 투자는 스톤브릿지벤처스, 소프트뱅크벤처스, 디에스자산운용, 인터베스트, 인탑스인베스트먼트 총 다섯 곳으로부터 총 190억 원 규모로 이루어졌다. 특히 스톤브릿지벤처스, 인터베스트는 지난 시리즈 A와 B에 이어 이번 시리즈 C 투자에도 참여했다. 수아랩은 인공지능·머신 비전·슈퍼컴퓨팅의 3가지 핵심기술을 통해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 무인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으로, 머신 비전 분야에서 최초로 딥러닝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 머신 비전 기술로 검사가 어려웠던 다양한 영역에 대해 검사 정확도와 속도를 높였다는 점에 국내외에서 이미 주목받은 바 있다. 또한 2017년과 2018년에는 세계 최대 머신 비전 전문 매체 Vision Systems Design이 선정한 Innovators Awards에서 각각 대상 및 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17 한독 상공회의소 선정 KGCCI 디지털 혁신 부분 수상, 2016년 에는 세계 최대 머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는 검증된 인테리어 전문가를 온라인에서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전문가 서비스’를 정식으로 론칭했다고 9일 밝혔다. 오늘의집 전문가 서비스는 고객에게 폭넓은 선택의 기회를 주고자 전국 3천여 곳의 인테리어 시공업체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국내 온라인 인테리어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수다. 또한 전문성 인증 제도를 운영해 서비스 신뢰도를 높인 것이 특장점이다. 전문가의 시공 경력, 자격증, 면허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검증 기준을 통과한 전문가에게는 인증 마크를 수여하는 등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했다. 더불어 전문가에게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필 페이지를 제공해 고객 접점을 확대했다. 시공자는 포트폴리오와 인테리어 사진을 등록해 자신의 실력을 홍보하고 고객은 원하는 전문가를 쉽게 찾고 소비자 후기를 바로 볼 수 있어 기존 오프라인 인테리어 시장 구조의 불편함을 크게 개선했다. 이밖에도 온라인 견적 계산기 서비스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시공 별 공정과 예상 견적을 확인할 수 있다. 비용 확인 후 해당 견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전문가를 모아볼 수 있어 편리하다. 버킷플레이스 이승재 대표는 “오늘의집은 전문가 서비스를
인공지능 전문기업 마인즈랩은 173억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LB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 외에도 신규 투자사로 IBK-NH 스몰자이언트 사모펀드(PEF), 큐캐피탈, 하나금융투자, 중소기업은행, BNK캐피탈, ETRI홀딩스 등 총 8개 사가 참여했다. 마인즈랩은 지금까지 총 9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어 누적 투자금액이 263억 원에 달한다. 마인즈랩은 이번 투자를 받으면서 약 930억 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았다. 이번 투자 유치 과정에서는 마인즈랩이 AI 서비스 플랫폼 마음 AI(maum.ai)를 토대로 다양한 산업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성공적인 상용화 역량을 보인 것이 주요한 투자 포인트로 작용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어떤 비즈니스든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AI 서비스(AI as a Service) 사업 영역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마인즈랩은 이번 투자 유치 금액을 △R&D 역량 강화 △AI 하이브리드 컨택센터 등 기존 사업 역량 확대 △해외 시장 진출 등에 고루 활용할 예정이다. 우선 인공지능 강국인 캐나다의 3대
image credit :레진엔터테인먼트 레진엔터테인먼트는 지난 3월 말 완결한 레진코믹스 스릴러 웹툰 ‘킬링 스토킹’이 올봄 독일을 시작으로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등 현지 출판사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출간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제2회 레진코믹스 세계 만화공모전’ 대상 수상작인 ‘킬링 스토킹(작가 쿠기)’은 비극적인 과거를 가진 연쇄 살인마와 이 사실을 모르고 그를 쫓던 스토커가 감금의 가해자와 피해자로 한 집에 머물게 되면서 전개되는 스릴 넘치는 이야기다. 지난 2016년 11월부터 글로벌 웹툰 플랫폼 레진코믹스를 통해 한국과 일본 미국에서 서비스 중인 ‘킬링 스토킹’은 2년이 넘는 연재 기간 동안 숱한 화제를 낳으며 영어권 국가뿐 아니라 비영어권 국가에서도 연재 초반부터 일찌감치 팬덤을 형성해 왔다. 인스타그램에는 다양한 국가의 팬들이 웹툰 속 주인공 차림을 한 코스프레 사진이나 직접 그린 팬아트 수십만 건이 게재 중이며 지난 2017년 북미 최대 만화행사인 ‘애니메 엑스포’와 유럽 최대 만화행사인 ‘루카 코믹스’에서 진행된 쿠기 작가의 사인회에는 수천 명의 팬들이 몰리며 주최 측이 안전관리를 챙기기도 했다. 현재도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러시아 멕시코 등
모바일 프리미엄 마트 마켓컬리의 운영사 ㈜컬리가 약 1천억 원 규모의 시리즈 D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 D는 기존 투자처인 국내외 주요 투자사가 재 참여했다. 마켓컬리는 이번 투자 유치 금액을 빠르게 확장된 규모에 걸맞은 안정적인 서비스 퀄리티를 유지하는데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물류 시스템 고도화 및 생산자들과 긴밀한 협업을 위한 공급망 관리, 안정적 운영을 위한 인력 확충에 활용해 새벽 배송 시장 선두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할 예정이다. 지난 2015년 5월 서비스를 론칭한 마켓컬리는 당일 수확한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을 밤 11시까지 주문하면 아침 7시 이전에 배송을 완료하는 ‘샛별배송’ 서비스를 내세워 보수적인 식품〮유통시장에 물류 혁신을 일으켰다. 특히, 국내 유일 상품 입고부터 배송까지 유통 전 과정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풀 콜드체인(Full Cold-Chain) 시스템을 보유해, 상품의 신선도를 최상으로 끌어올려 온라인 식품 판매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제고한 바 있다. 이번 투자에 대해 세콰이어캐피탈차이나의 투자담당 심사역 티안티안 허는 “마켓컬리는 빠르게 성장하는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그 존재
사진: 레진코믹스 2017 애니엑스포 레진엔터테인먼트(대표 이성업)는 4일 실적 발표를 통해 “2018년 한 해 46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중 한국 웹툰 수출로 미국 시장에서 처음으로 단독 매출 100억 원을 돌파했다”라고 밝혔다. 레진코믹스는 2016년 1월 본격 진출한 미국 시장에서 지난해 105억 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63억 원) 대비 65% 성장하며 전체 해외 실적을 견인했다. 또 2015년 하반기 진출한 일본 시장에서도 37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29억 원) 대비 29% 성장했다. 지난해 전체 해외 매출은 149억 원, 이는 레진코믹스가 직접 진출한 미국·일본 시장과 간접 진출한 중국시장 등의 실적을 합한 것으로 전년 (98억 원) 대비 52% 성장한 수치다. 레진코믹스는 현재 800여 편의 웹툰을 포함 8000여 편의 만화를 제공 중이며 이중 미국 시장에서는 한국 웹툰 214편을 포함 219편의 웹툰을 영어로, 일본 시장에서는 한국 웹툰 180편과 일본 만화 492편 등 672편의 작품을 일본어로 서비스 중이다(2018년 12월 기준). 이 같은 성장세로 레진코믹스는 미국 시장 진출 당시 밝혔던 ‘한국의 웹툰을 세계 최대 소비자
모바일 해외여행 서비스 ‘트리플’이 300억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고 26일 밝혔다. 트리플은 지난 2018년 5월, 120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받은 바 있어 누적 투자 금액은 420억이 되었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아주아이비투자 외에 신규 투자사로 KTB네트워크,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네오플럭스, 키움인베스트먼트, 아이비케이캐피탈/아이비케이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벤처투자, 비엔에이에셋, AJ캐피탈파트너스, 코사인개인투자조합 등 총 14개 사가 참여했다. 해외 여행자를 위해 데이터 및 콘텐츠 기반으로 새로운 여행 방법을 제시한 점, 서비스 출시 1년 6개월 만에 300만 명 가입자를 돌파한 부분이 주요 투자 포인트로 작용했다. 또한 호텔, 투어, 티켓 예약 등을 결합한 여행 플랫폼으로 성장 가능성에 다수의 투자자가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투자자 중 한 곳인 KTB네트워크의 장성엽 부장은 “트리플은 예비 여행자들이 실제 여행 준비 때만 접속하여 최저가 상품을 검색하는 여타 OTA 서비스와 차별화된 이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여행 콘텐츠도 상시 서비스가 가능
실리콘밸리 소재 벤처캐피털 알토스벤처스가 자기 계발 투자 앱 ‘챌린저스’를 운영하는 (주)화이트큐브에 10억 원을 투자했다고 26일 밝혔다. ‘챌린저스’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앱으로 ‘1만 보 걷기’, ‘종이신문 읽기’, ‘TED 강연 보기’ 등 170여 건의 프로젝트가 등록돼 있다. 특히 참가자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소액의 돈을 걸고 프로젝트에 참가할 수 있다. ‘챌린저스’ 이용자들은 챌린지에 참가하는 2주간 다른 참가자들과 함께 경쟁하며 매일 정해진 시간에 앱 카메라를 통해 인증을 하고 최종 목표 달성률에 따라 참가비를 돌려받는다. 달성률 85% 이상이 되면 참가비 전액이 환급되며 100% 완료하면 추가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챌린저스’는 서비스 4개월 만에 회원 수 8만 명과 누적 프로젝트 참여금 30억 원을 넘어섰다. 또한 여럿이 함께 하고 자기 계발비 명목으로 투자함에 따라 동기 부여를 제공해 환급률 96% 이상을 기록 중에 있다. 알토스벤처스 박희은 수석은 “7년간 오프라인 목표 달성 커뮤니티를 공동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챌린저스’가 만들어졌다”며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서로 독려하며 함께 목
디지털 마케팅 전문기업 ㈜컴플러스는 최근 우리은행으로부터 1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컴플러스는 온라인 광고대행사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들이 주축이 되어 지난 2016년 11월에 창업한 이래 여러 클라이언트들의 온라인과 모바일 등 디지털 기반의 마케팅 및 광고대행 업무를 진행해 온 디지털 마케팅 전문 에이전시이다. 관계자에 의하면 우리은행은 “컴플러스의 많은 경험에서 우러나온 창의적인 콘셉트와 편의성 등, 그 기술의 사업성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 이례적으로 마케팅 에이전시에 투자한 것”으로 전했다. 컴플러스 강병우대표 컴플러스의 강병우 대표는 “올 6월 중에 론칭 예정인 통합 마케팅 관리 솔루션 ‘광고어때’는 기존 광고대행사 및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로서는 불편하지만 당연히 해왔었던 사소한 업무들을 개선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광고대행사의 AE들, 중/소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들, 소호사업자, 소상공인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마케팅 성과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을 할애했던 업무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솔루션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컴플러스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