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크라우드픽 팀원 이미지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크라우드픽이 IBK기업은행, 스트롱벤처스, 프라이머로부터 프리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투자 유치에 따라 서비스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BM을 고도화하는 한편, 국내 시장 점유율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크라우드픽은 사진, 일러스트, 캘리그래피 등의 스톡 이미지를 판매하고 싶은 작가와 상업용 이미지가 필요한 기업을 이어주는 플랫폼이다. 크라우드픽에 따르면 이번 투자 유치의 비결은 이미지 거래의 선순환이 빠르게 성장하는 데 있다고 했다. 크라우드픽에서는 일반인부터 전업 작가까지 누구나 본인의 이미지를 올려 알리고 판매할 수 있고, 구매고객은 필요한 이미지를 검색하여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상업용 이미지 중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크라우드픽은 또 기업의 이미지 소싱을 위한 ‘공모전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다. 상업용, AI 연구 목적의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기업체나 공공기관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공모전을 열면, 크라우드픽의 작가가 해당 공모전에 이미지를 응모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크라우드픽에는 현재 50,000명의 작가와 120만 장의 이미지 풀을
image credit : 브이플레이트 SNS 영상광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 ‘브이플레이트(VPLATE)’를 운영하는 더브이플래닛이 3월 빅뱅엔젤스로부터 후속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더브이플래닛은 누구나 숏폼 영상광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서비스 브이플레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전문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들이 제공한 디자인 템플릿에 이미지와 텍스트 몇 개만 입력해서 영상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최근엔 다양한 기업들과의 제휴를 시도하며 국내 점유율 확대와 아시아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브이플레이트는 유저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브랜드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오는 4월 업데이트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의 브랜드 컬러와 메시지를 더욱 분명하게 전달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더브이플래닛은 태국, 싱가포르의 파트너사들과 협력하여 현지에서의 브이플레이트 서비스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 사전 고객 확보 작업을 진행 중이며, 4월 웹서비스 출시와 함께 공격적인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다고 한다. 이준호 대표는 “검색도 유튜브에서 하는 시대가 온만큼, 비즈니스를 위한 영상 콘텐츠의 제작은 모든 기업들의 과
image credit : 크리에이트립 외국인 대상 국내 여행 정보 제공 플랫폼을 운영하는 (주)크리에이트립이 외국인이 국내 여행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제휴 업체 수 300개를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또한 외국 여행객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제휴처 쿠폰의 누적 다운로드 수가 약 7만 건을 넘어서며 올해 들어 월평균 건수도 1만 6000건을 기록 중이다. 2016년 설립된 크리에이트립은 해외 여행객들이 한국을 방문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제공 플랫폼으로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에서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국내 도심과 전국 여행지의 명소, 음식점, 패션 상점 등을 소개하는 1만 여개 콘텐츠들을 제공하고 제휴처들의 이용 예약 및 음식 배달 서비스도 하고 있다. 크리에이트립은 외국인들이 현지인처럼 한국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세세한 정보와 여행 팁까지 유튜브 영상과 블로그 등의 콘텐츠로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영어, 중국어, 일본어, 태국어 등 총 7개 언어로 콘텐츠를 지원하고 있으며 SNS를 통한 외국인 회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은 크리에이트립만의 강점이다. 크리에이트립 임혜민 대표는 “외국인이 한국을 현지인처럼 이용할 수 있
image credit : 필라로이드 세계 최초로 종이컵을 재활용하는 사진인화 서비스인 필라로이드는 종이컵 소각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비닐 인화지를 전면 중단하고 종이컵을 재활용한 환경친화적인 인화지로 사진을 제작한다. 업사이클링 소재로 사용되는 종이컵은 대부분이 손상되지 않은 채로 버려지기 때문에 질기고 튼튼한 고급 섬유를 재활용할 수 있고, 섬유의 특성이 사진인화와 적합하다는 점을 착안한 것이다. 필라로이드는 종이컵 소각을 줄이는 환경적인 가치를 위해 매월 무료로 인화할 수 있는 무료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인화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와 최고의 품질로 사진을 인화할 수 있다. 또한 필라로이드 앱을 다운로드하면 자체적인 사진 보정 및 편집 기술을 제공해 누구나 간편하게 사진을 만들 수 있다. 필라로이드 운영사인 테오아 오승호 대표는 “서비스 론칭 이후 종이컵을 사진으로 재활용한다는 이슈가 온라인 카페와 소셜 네트워크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주문량도 급증하게 되었다”며 “현재는 종이컵 재활용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국내 제지업체와의 협약 체결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테오아는 한국을 대표하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팅 프로
image credit : 오드엠 인플루언서 플랫폼 애드픽을 운영하는 디지털 마케팅 기업 오드엠이 2019년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을 분석하고 2020년 예상 트렌드를 소개한 ‘2019/2020 성과형 인플루언서 마케팅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로 3회째 발간되는 보고서는 성과형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포함한 국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을 한눈에 파악하고 효율적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를 위해 6년간 애드픽에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업계 트렌드 리뷰, 애드픽 운영자 인터뷰, 2019년 업계 분석과 2020년 시장 전망, 성과형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팁을 수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은 유통업계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해였다. 특히 인플루언서가 직접 물건을 제작, 판매하는 ‘인플루언서 커머스’가 각광받으며 관련 서비스와 플랫폼들도 연이어 출시됐다. 누구나 쉽게 1인 마켓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며 소비자가 판매자 역할을 하는 ‘셀슈머’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마케팅 효율 측면에서는 1만 명에서 10만 명 규모의 팔로워를 보유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각광받았다. 보고서의 통계 분
image credit : 착한의사 모바일 의료정보 서비스 ‘착한의사’ 운영사 비바이노베이션은 지난 17일 ‘MY건강’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착한의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병원/약국 찾기, 병원비 비교, 자가진단, 건강뉴스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플랫폼으로 이번에 출시된 ‘MY건강’ 서비스는 모바일로 본인의 의료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흩어져 있는 개인의 의료 기록을 한눈에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사용자는 본인이 언제 어느 병원 또는 약국을 방문했는지, 어떤 약을 처방받았는지 과거 의료 기록을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약품의 사진, 건강보험 적용 여부, 복용 안내, 주의사항, 금기사항 등 처방받은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과거 건강검진 결과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으며, 착한의사에서 제공하는 검진 할인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들은 종합검진 결과도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다. 착한의사는 비수기를 활용하여 개인에게 단체 할인가를 적용하는 건강검진 할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바이노베이션 김성태 이사는 “민감한 개인 의료정보를 다루는 만큼 제1금융권 은행과
패션 테크 기업 크로키닷컴(주)이 운영하는 여성 쇼핑몰 모음 서비스 지그재그가 국내 패션 앱 최초로 2000만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지난해 6000억 원의 거래액을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지그재그는 3700개의 국내 대표 여성 패션 쇼핑몰들을 한데 모아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서로 다른 쇼핑몰의 상품을 하나의 장바구니에 담고 일괄적 결제까지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쇼핑몰들의 입점 수수료가 없는 지그재그는 ‘Z결제’ 수수료와 자체 개인화 추천 모델을 통해 지난해 약 3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지난 3달간 ‘Z결제’에 입점하는 쇼핑몰 수는 매월 40% 이상 빠르게 증가해 월평균 20% 이상의 매출 증가율을 올렸다 이를 기반으로 지그재그는 여성 패션 앱 중 최초로 올해 상반기 내 누적 거래액 2조 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분석 서비스 ‘앱애니‘ 분석 기준 지난달 이용자 체류시간은 평균 72분을 기록, 패션 앱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지그재그는 월평균 이용자수(MAU) 270만 명, 일 평균 이용자 수(DAU) 70만 명을 기록했다. 2019년 4분기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이 발표한 ‘10대∙20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진 : 우측 유방에 침습성 소엽 암종이 있는 49세 여성의 유방 촬영 모습이다. AI에 의해 우측 유방에 미세 석회화가 있는 작은 덩어리가 96% 이상의 점수로 정확히 검출되었다. 14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한 결과, 7명(유방 영상의학과 전문의 4명, 일반 영상의학과 전문의 3명)만이 해당 암종을 발견했다. 하지만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은 후, 14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모두 암종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다. 사진제공 : 루닛 의료 인공지능 대표기업 루닛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유방암 검출 판독 향상에 대한 논문이 란셋 디지털 헬스(The Lancet Digital Health)에 채택됐다고 10일 발표했다. 란셋은 영국에서 발행하는 세계적 의학 학술지 중 하나로, ‘란셋 디지털 헬스’는 란셋에서 디지털 헬스 분야를 다루는 전문 저널이다. 이번 논문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한국의 주요 대학 병원들과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영국 등 5개 기관에서 수집된 17만 건 이상의 대규모 유방촬영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특히, 조직 검사를 통해 확진된 36,000건 이상의 유방촬영 영상이 제품 개발에
아임웹 대만 서비스 화면/ 아임웹 제공 웹사이트·쇼핑몰 제작 솔루션 제공 스타트업 '아임웹'이 대만 서비스를 공식 오픈하고 본격적인 현지 활동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아임웹은 개발이나 포토샵, 코딩 같은 IT 전문 지식이 없어도 개인이 쉽게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웹빌더 솔루션 '아임웹'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높은 사용자 편의성과 다양한 마케팅 툴 연동으로 인기를 끌며 지난해 매출 50억원을 돌파했다. 아임웹은 지난해 10월 대만 지사를 설립하고 대만 1위 온라인 결제 업체인 EC페이(EC Pay)와 제휴를 체결하는 등 서비스 현지화를 준비해왔다. 4일 정식 오픈한 대만 서비스는 국내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아임웹을 이용해 손쉽게 홈페이지 및 쇼핑몰을 제작·운영할 수 있다. 아임웹이 첫 글로벌 진출 국가로 대만을 선택한 이유는 현지 시장에 웹빌더와 쇼핑몰 기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없기 때문이다. 아임웹은 대만 서비스 오픈과 함께 자신만의 웹사이트나 쇼핑몰이 필요한 현지 1인 창업가와 소규모 브랜드, 인플루언서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세미나와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현지 PG사와 제휴를 확대하고 대만 주요 오픈마켓과의 협력으로 서비스 확장
image credits : 체커 데이터 협업‧보안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 체커가 지난달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깃허브(GitHub)의 신규 서비스 파트너로 선정,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깃허브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용 소스 코드 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코드의 버전 관리, 협업 등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체커는 깃허브 플랫폼 내 ‘학생용 개발자 팩(Student Developer Pack)’에 데이터베이스 통합‧관리 개발 솔루션 SQLGate의 신규 등록을 마쳤다. SQLGate는 수많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쉽고, 빠르게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다. 오라클(Oracle), SQL Server, PostgreSQL, MySQL 등 다양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맞춤 지원한다. 깃허브의 학생용 개발자 팩은 간단한 인증과정을 거친 후 다양한 개발 툴들을 하나의 팩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다. 전 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체커는 개별 학생뿐만 아니라 교육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깃허브 선생님용 팩(GitHub
De-icer is a necessity during the winter, but it does cause great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to our society including concrete damage, car corrosions, porthole, pets paw burns, and respiratory problems caused by dust. Various deicing products have been produced under the slogan ‘eco-friendly’, but they had functional limitations including reduced melting performance and caused other environmental problems, while the prices were high.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products, STAR’s TECH CO., LTD was surprisingly able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through the
생체 정보 기반 AI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주)룩시드랩스이 세계 최대 규모의 영화•인터랙티브•음악•스타트업 축제인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이하SXSW)가 뽑은 혁신을 주도하는 50대 스타트업에 선정됐다고 29일 벍혔다. 50대 혁신 스타트업이 참가하는 SXSW 피치는 3월 13~14일 (미국 중부 표준시) 다운타운 힐튼 오스틴 호텔에서 진행된다. 본 행사에서는 SXSW에서 선정한 인공지능, AR/VR, 블록체인, 헬스, 웨어러블, 스마트 시티 등 10개 부문의 파이널리스트로 올라온 상위 5개 팀이 겨루게 되며, 15일 저녁 각 부문별 우승팀 시상은 물론, 이 중 최우수 팀도 가리게 된다. 룩시드랩스의 채용욱 대표는 “SXSW라는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문화 행사에서 룩시드랩스가 독자 개발한 생체 신호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력을 선보일 수 있게 되어 고무적”이라며, “SXSW를 계기로 글로벌 시장에서 인간의 생체 신호에 인공지능을 적용해 인지/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룩시드랩스의 차별화된 혁신 기술의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라고 말했다. 룩시드랩스 : https://looxidlabs.com/
사진: 링글의 일대일 화상영어 서비스 영어교육 스타트업 링글(Ringle English Education Service)이 영어 O2O콘셉트를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링글은 스탠퍼드 MBA 출신들이 모여 창업한 에듀테크 전문기업이다. 일대일 온라인 영어회화 전문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링글이 시작한 새로운 형태의 O2O 콘셉트는 온라인 서비스에 더해 영어와 관련된 다양한 오프라인 세션을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부여 및 네트워킹까지 지원한다. 대상은 링글 유료 수강생이다. 사진 : 링글이 개최한 영어 O2O 콘셉트의 첫 밋업 실제적으로 2019년 12월 말 개최된 O2O 콘셉트 첫 오프라인 모임인 링글 밋업(Meet-up)에는 150여 명이 넘게 참석하며 열띤 관심을 보였다. 이날 밋업은‘미국 서부에서의 커리어, 그리고 삶’을 주제로 진행됐다. 글로벌 IT 기업인 어도비(Adobe)를 비롯 미국 최대 맛집 검색·평가 앱 옐프(Yelp), 배틀그라운드로 글로벌 게임사 반열에 오른 펍지(PUBG)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직접 자리해 영어와 관련된 솔직한 경험담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시간을
CES 2020 엔씽 부스 현장 이미지 제공 : 엔씽 팜테크 스타트업 엔씽이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0’에 참가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CES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로, 올해 155개국에서 18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CES는 매년 수만 개의 전시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인 400여 개 제품에 혁신상(Honoree)을 수여한다. 엔씽은 이번 행사에 수직농장 플랜티 큐브(Planty Cube)를 선보여 그중에서도 단 31개 제품에만 수여되는 최고 혁신상(Best of Innovation)을 받았다. 실제 모듈형 컨테이너 농장을 재현한 부스에는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플랜티 큐브는 40피트 컨테이너 내에서 작물을 생산·관리하는 모듈형 자동화 농장이다. 컨테이너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고 수직으로 쌓아 농장을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 수경재배 기술로 흙과 농약이 아닌 물과 배양액만으로 작물을 재배한다. 완전 밀폐된 환경에서 생산되는 작물들은 세척 없이 바로 섭취할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하고 안전하게 관리된다. 자체 개발한 CUBE OS(농장 운영시스템)가 재배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으로
image credit : 스켈터랩스 인공지능 기술 기업 스켈터랩스는 자체 개발한 한국어 AI 언어 모델이 한국어 기계 독해(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RC) 데이터셋 ‘KorQuAD 1.0’ 기반 성능 평가 리더보드(Leaderboard)에서 F1 스코어 95.15점을 받아 1위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KorQuAD 1.0은 LG CNS가 2018년 12월 공개한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셋으로, 기계 독해 AI 학습 및 검증을 위해 위키백과로부터 추출한 표준 데이터 7만 개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 평가는 데이터셋에서 추출한 내용을 질문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 개발 모델이 답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개발된 AI 기계 독해 모델을 제출하면 모델이 찾은 답과 실제 정답을 글자 단위로 비교해, 정밀도(Precision)와 재현율(Recall)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수치인 F1 스코어와 모델이 정답을 정확히 맞힌 데이터의 비율을 뜻하는 EM 스코어로 성능 평가 결과를 받을 수 있다. KorQuAD 독해 문제를 인간이 직접 풀었을 때는 F1 스코어 91.20점, EM 스코어 80.17점을 기록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인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