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 소재 벤처캐피탈 알토스벤처스가 온라인 그룹스터디 중개 플랫폼을 운영하는 (주)스터디파이(대표이사 김태우)에 총 12억원을 투자했다고 지난13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엔젤투자자도 일부 참여했다. 올해들어 알토스벤처스는 코리빙하우스 ‘커먼타운’, 온라인 코딩교육업체 ‘엘리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플랫폼 ‘메이크스타’ 등에 투자한 바 있다. 성인 교육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 중개 플랫폼인 ‘스터디파이’는 머신러닝, 블록체인, 코딩을 비롯해 글쓰기, 마케팅, 주식 및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서비스 1개월만에 30개 이상의 스터디가 등록됐으며 연말까지 미디어, 디자인, 비즈니스, 외국어 등으로 확장하며 100여개의 콘텐츠를 선보여 나갈 계획이다. ‘스터디파이’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 진행자가 스터디를 진행하고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슬랙(Slack) 메신저에 모여 온라인으로 함께 학습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자들은 매주 본인이 가능한 시간에 학습하고 주간과제를 수행하게 되면 최대 50%까지 서비스 요금을 환급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알토스벤처스 박희은 수석은 “국내외 온라인 스터디 이용 완주율이 평균
사진: 러닝스푼즈 부동산 개발 강의 image credit :러닝스푼즈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무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러닝스푼즈'이 크라우디를 통해 1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러닝스푼즈는 업무능력을 향상하거나 커리어 전환을 목표로 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파이낸스, 비즈니스, 데이터 사이언스, 부동산, 커리어 등 다양한 영역의 온/오프라인 직무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교육까지 진출하여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현재 러닝스푼즈의 교육을 제공받고 있다. 이번 투자에는 매일경제가 설립한 엑셀러레이터 회사인 미라클 랩도 참여하였으며, Post-Money Value 40억으로 진행되었다. 러닝스푼즈 이창민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로 온라인 직무교육 시장으로 서비스 영역을 빠르게 확대할 계획” 이라며, “제대로 된 교육기획으로 시장을 선도하겠다” 며 포부를 밝혔다. 러닝스푼즈 :http://learningspoons.com/
어떻게 하면 대박이 나고, 부자가 될 수 있을까? 과거에 많은 사람들을 부자로 만든 대박 발명품들과 아이디어들!! 이 발명품들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지금부터 만나보도록 할까요? 그래서 우리도 본받고 다들 대박이 나고 부자가 됩시다. 컴퓨터 작업을 할 때에 사무실에서, 이제는 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레이저 프린터… 시끄러운 닷 메트릭스 프린터와, 잉크가 쉽게 번지기도 했던 잉크젯 프린터에 비하여, 조용하고 빠르고 선명하게 잉크도 안 번지게 프린트를 한다. 더군다나 옛날에는 크기도 사무실 한 구석을 다 차지하고, 혼자 들기에는 너무나 무거웠던 것이, 이제는 책상 위에 혼자서 올려놓을 정도로 작아졌고, 가격도 몇 천불대에서 백 불대로 떨어지기까지 하였다. 이 레이저 프린터는 1960년대 후반 제록스에서 고속 팩스기계를 연구하는 게리 스타크 웨더 연구원에 의해 만들어졌다. "1967년 어느 날, 나는 연구실에서 이 거대한 중앙 컴퓨터를 보며 앉아 있었다. 그때 팩스처럼 남이 만들어 낸 원본을 복사하는 대신, 컴퓨터를 이용해서 원본을 만들어 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하루는 아침에 일어나 생각했다. 직접 인쇄하는 방법은 어떨까? “ 그는 레이저라는
image credits :하비풀 온라인 취미 클래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하비풀이 서울산업진흥원(SBA)으로부터 투자 유치받았다고 18일 밝혔다. 하비풀은 hobby와 beautiful의 합성어로, '취미를 만나 일상이 아름다워지다'라는 슬로건을 통해 평소에 즐기고 싶었던 취미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취미 아티스트가 자세하게 과정을 설명해주는 클래스 영상을 통해 온라인으로 누구든 쉽게 취미를 시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양질의 재료 키트, 클래스 영상을 제공하며 지난해 5월 출시 후 지속적인 호응으로 월평균 20% 이상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양순모 대표는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취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과 가능성을 인정받아 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면서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고객과 취미 아티스트의 연결을 확장시키기 위한 시스템 강화에 집중하면서, 온라인 취미 클래스의 저변을 넓히는데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산하 중소기업 지원기관 SBA는 'SBA 액 셀러 레이팅 사업'을 통해 민간투자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우수 창업기업을 선별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다. 기술성,
웹소설 연재 플랫폼 문피아가 18일 중국 최대 웹소설 플랫폼 CLL(China Literature Limited)과 엔씨소프트로부터 250억 원의 지분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CLL과 엔씨소프트는 문피아의 각 2, 3대 주주로 이름을 올렸다. 문피아 김환철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는 단순한 지분 투자가 아닌 비즈니스 협업을 위한 투자”라며 “문피아 플랫폼과 콘텐츠의 글로벌 진출과 OSMU 사업을 본격화할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LL 공동대표 량샤오동(Xiaodong Liang)은 “한국 콘텐츠 산업은 다양한 고퀄리티의 콘텐츠를 끊임없이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CLL은 한국의 온라인 문화 산업을 오랫동안 연구해왔으며, 한국 콘텐츠 시장의 특성이 해외 비즈니스 전략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 생각한다. CLL은 문피아를 통해 한국의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 및 제작자와 장기적인 관계를 맺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엔씨소프트 유주동 투자실장은 “엔씨소프트는 높은 성장성을 갖춘 업체와 새로운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일환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웹소설 플랫폼을 넘어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가진 문피
사진 : 런치팩 팀원 image credit :런치팩 빌더 솔루션 스타트업 '런치팩'이 전문 투자 벤처캐피털인 쿨리지코너 인베스트먼트로 부터 1억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18일 밝혔다. 런치백의 이번 투자 유치는 스타트업의 불모지인 광주전남권 지역에서 VC 투자는 매우 드문만큼 그 의미가 크다. 2017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 런치팩은 개발자가 없어도 웹/앱 플랫폼 서비스를 창업할 수 있는 빌더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 단순히 앱 화면을 제작하는 빌더와 달리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솔루션까지 함께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올 하반기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입소문 만으로 7건의 사전계약과 127건의 문의를 돌파했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의 강신혁 이사는 “런치팩은 개발자를 구하지 못했던 창업자들 사이에 좋은 피드백을 이끌어내고 있다”며 “개발자금과 팀 빌딩 비용이 큰 초기 창업자들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로 런치팩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런치팩의 염민지 대표는 “이번 투자금으로 창업자들의 편리성 향상을 위해 제품 개발에 집중 투자 하겠다”라고 밝혔다. 런치팩 :http://launchpack.co.kr/
인테리어 정보 플랫폼 '오늘의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가 네이버로부터 투자(금액 비공개)를 유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로써 버킷플레이스의 전체 누적 투자금은 111억 원 이다. 지난 2014년 7월 서비스를 시작한 '오늘의집'은 현재 웹과 앱을 더해 월간 220만 명이 넘는 이용자가 방문하는 대표적인 인테리어 정보 공유 플랫폼으로 어플 누적 다운로드 300만을 넘기며 인테리어 플랫폼 분야 국내 최다 이용자 수를 기록하고 있다. ‘오늘의집’ 에서 유저들이 공유한 인테리어 사례는 35만 개가 넘으며 인테리어에 활용된 5만 개 이상의 리빙 제품 정보들을 함께 제공하며 국내 인테리어 정보 플랫폼 중에서는 가장 많은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오늘의집’은 2016년 3분기 인테리어 사진 속 제품을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스토어를 오픈 한 이후 2018년 10월 현재 누적 거래액 600억 원으로 가파른 거래 액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올해 안에 누적 거래액 800억 원, 월 거래액 100억 원을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버킷플레이스는 올해 2월 인테리어 O2O 스타트업 브랫 빌리지의 사업권 인수와 함께 창업자 또한 버킷플레이스로
2018 ARC 어워즈에서 수상한 현대차그룹의 사회공헌백서와 지속가능보고서 사진제공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이 지난 11일 미국 머콤사(MerComm, INC.)가 주관하는 연차보고서 경연대회 ‘2018 ARC 어워즈(2018 ARC Awards)’ 3개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 선정된 간행물은 현대차그룹의 사회공헌 내용을 담은 ‘2017 현대차그룹 사회공헌백서’와 한 해 동안의 국내외 경영 성과와 향후 계획을 담은 ‘2017 현대차 지속가능보고서’, ‘2018 기아차 지속가능보고서’ 등이다. 2017 현대차그룹 사회공헌백서는 각 부문별 최고 출품작에게만 수여되는 최고상인 대상(Grand Award Winner)을 수상했으며 2017 현대차 지속가능보고서는 은상(Silver), 2018 기아차 지속가능보고서는 동상(Bronze)을 수상했다. 올해로 32회째를 맞은 ARC 어워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전통과 권위를 자랑하는 머콤사가 진행하는 대회로 기업 홍보물 부문 세계 3대 어워즈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출품작 중 독창성, 품질, 디자인 등을 기준으로 전문가의 심사를 통해 매년 수상작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전 세계
2018 서플라이사이드 웨스트 파이널리스트 샘표의 순식물성 요리에센스 ‘연두’가 미국에서 열리는 식품 박람회 ‘서플라이사이드 웨스트(SupplySide West)’에서 선정하는 우수제품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서플라이사이드 웨스트는 전세계 식자재, 완제품 제조업체들이 참가하는 무역 박람회이자 교육포럼이다. 매년 1300여 업체와 1만6000여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세계 식품 트렌드와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와 네트워킹이 활발하기로 유명하다. 무엇보다 매년 발표되는 우수제품상에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서플라이사이드 웨스트’를 개최하는 글로벌 전시기획 전문기업 ‘인포르마(Informa Exhibitions)’와 글로벌 식품 전문 매체 ‘내추럴 프로덕트 인사이더(Natural Product INSIDER)’는 지난달 14일 ‘우수제품상(CPG Editor‘s Choice Awards)’ 최종 후보를 발표했다. 제품의 혁신성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총 28개 부문에 대해 각각 5개 제품을 선정했는데, 샘표 ‘연두’가 양념과 드레싱, 마리네이드 부문 최종 후보에 포함됐다. 심사에 참여한 ‘내추럴 프로덕트 인사이더’의 샌디 알멘다레즈(Sandy Alme
유지환 코리아텍 기계공학부 교수 유지환 코리아텍 기계공학부 교수가 미국 전기전자공학회 로봇 및 자동화 분과(IEEE Robotics and Automation Society)로부터 저명 연구자(Distinguished Lecturer. DL)로 선정됐다. DL은 탁월한 연구자에게만 주어지는 기회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로봇 및 자동화 기술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직분이다. DL은 전 세계 50여명, 한국에서는 유지환 교수를 포함해 4명에 불과하다. 유지환 교수는 2009년 국내 최초 대륙 간 수술로봇 원격조종 성공에 이어 2010년 햅틱심포지엄 best poster award 수상, 2017년 현대 자율주행자동차대회 2위 등의 성과를 이끌었으며 Asia Haptics 2018 general chair, IEEE TC-Haptics Co-chair, IEEE Transactions on Haptics Associate Editor 등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더불어 코리아텍 기계공학부에 진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지도교수를 맡아 이들을 영국 브리스톨 대학, 베트남 호치민 기술교육대학교, 퀸메리 런던대학교 등 해외 유수대 교수로 만드는
시애틀에서 열린 한인 IT 전문가 단체인 창발(창의와 발전)에서 개최한 컨퍼런스에서 김윤 SK텔레콤 센터장이 자사의 AI 연구 분야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K텔레콤이 미국을 직접 찾아가 한국 AI 발전을 이끌 핵심 인재 영입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지난 13일 시애틀 지역 한인 IT 전문가들의 모임인 ‘창발(창의와 발명)’ 주최 ‘2018 창발 컨퍼런스’에 참여해 AI 전문가들과 관련 분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재 영입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는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200여명의 IT 분야 종사자와 학생들이 모인 가운데 진행됐으며 챔피언 스폰서로 참여한 SK텔레콤은 AI 사업과 개발을 총괄하는 김윤 AI센터장이 직접 AI 인재 영입을 목표로 참석했다. ‘창발’은 2014년 발족한 북미 지역의 대표적인 한인 IT 비영리단체로, 다양한 IT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세미나와 컨퍼런스 등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며 IT 분야 역량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창발의 현재 가입자는 500여명이며 회원 가운데 30%가 아마존, 28%가 마이크로소프트에 근무하는 등 AI 분야 종사가 가능한 개발자들과 데이터 관련 종사자들이 밀집돼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김
프로미식축구 명예의전당 데이빗 베이커 회장과 스포츠와그룹 우승민 대표 스포츠와그룹이 글로벌 마케팅 프로젝트 기간인 10월 1일부터 6일 동안 미국 동부 캔톤 시에 있는(NFL HALL OF FAME) 프로미식축구 명예의 전당에서 대구 벤처기업 3.14의 제품 카미봇을 론칭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스포츠와 그룹은 카미봇 로봇이 앞으로 미국 NFL 팀들의 스타디움 프로샵에서 정식으로 볼 수 있는 기회와 마케팅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스포츠와 그룹 우승민 대표는 “이번 첫 성과에 대구경북 창업 생태계 활성화 및 기업지원에 아낌없이 투자해 주신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에게 감사를 드린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