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YG그룹 iKON 뉴욕--(뉴스와이어) ---글로벌 통합 정보 분석 기업 닐슨의 인공지능 기반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그레이스노트(Gracenote®)가 국내 음악 산업을 이끌고 있는 YG PLUS와 협력한다. 양사는 케이팝(K-POP) 뮤직 데이터를 전세계에 서비스함으로써 한국 아티스트와 음악이 세계인들에게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예정이다. 케이팝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그레이스노트는 YG PLUS와 협력해 한국 음악의 특징적 정보를 정리하고, 그레이스노트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음악의 무드, 템포 등을 분류, 전 세계 음악 팬들의 개인 취향에 따라 케이팝을 추천하거나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재 그레이스노트는 글로벌 뮤직 데이터를 통해 YG PLUS의 파트너인 네이버 뮤직을 포함한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개인의 취향에 맞는 음악 추천 및 상세 검색 등 온라인 이용자들이 보다 풍부한 음악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음악 추천과 상세 검색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그레이스노트의 글로벌 뮤직 데이터(Global Music Data)는 전 세계적으로 가
제조사 : 글루가 웹사이트 :http://ohora.kr editorial credit : 아이디어마루 image credits : 아이디어마루 아이디어마루
<사진 : 축하케이크 커팅을 하고 있는이학수 회장 ( 왼쪽에서 6번째 정중앙 )> 뉴저지 한인 경제인협회( 회장 이학수) 는 지난 15일 뉴저지 잉글우드클립스의 지오바니 바이시클 클럽(Giovanni's Bicycle Club : 487 Sylvan Ave, Englewood Cliffs, NJ 07632)에서 협회70여명의 회원과 함께 2018년 신년하례식 및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image credit :뉴저지 한인 경제인협회
사진 출처 :LG전자 LG전자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18’에서 70개 어워드를 받으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LG전자는 CES 주관사인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지난해 11월에 선정한 ‘CES 혁신상’ 18개를 포함해 현재까지 70개가 넘는 어워드를 받았다. 전시가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어워드 숫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LG AI 올레드 TV’는 ‘엔가젯(Engadget)’, ‘USA 투데이(USA Today)’, ‘테크레이더(Techrador)’ 등 유력 매체들로부터 지금까지 22개 어워드를 받았다. CES의 공식 어워드 파트너인 ‘엔가젯’은 ‘LG AI 올레드 TV’를 최고 TV(Best of TV)’에 선정했다. 미국 최대 일간지 ‘USA 투데이’의 리뷰 전문 매체 ‘리뷰드닷컴(Reviewed.com)’은 ‘LG AI 올레드 TV’를 ‘에디터스 초이스(Editor’s Choice)’에 선정했다. ‘리뷰드닷컴’은 “‘LG AI 올레드 TV’는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화질과 뛰어난 웹OS 스마트 플랫폼으로 항상 최고 평가를 받아왔다”고 호평했다. 영국 IT 매체 ‘테크레이더(Te
삼성전자가 12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뉴베리 카운티에 위치한 신규 가전 공장에서 김현석 삼성전자 소비자가전 부문장과 헨리 맥마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출하식 행사를 가졌다. 사진제공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12일(현지 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뉴베리 카운티에 위치한 신규 가전 공장에서 김현석 삼성전자 CE(소비자가전) 부문장과 헨리 맥마스터(Henry McMaster)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출하식 행사를 가지고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이 공장에 2020년까지 약 3억8000만달러를 투자해 연간 약 100만대의 세탁기를 생산하고 미국 시장의 수요에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 공장에서 처음 생산한 세탁기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참전 용사와 불치병 어린이를 지원하는 자유와 희망 재단(Freedom&Hope Foundation), 가정환경이 어려운 어린이를 지원하는 보이즈 팜(Boys Farms)과 뉴베리 카운티 박물관에 기증해 의미를 더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클렘슨 대학(Clemson University),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University of South Carolin
코참(미 한국 상공회의소 : 회장 김원기)이 1월 25일 목요일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 40분까지뉴저지 테낵 메리어트 호텔이스트 볼륨(Marriott Teaneck at Glenpointe, East Ballroom : 100 Frank W. Burr Boulevard, Teaneck, NJ 07666)에서지난해 12월의 관련 세미나에 이어 KPMG세무전문가를 초청하여 개정세법의 내용, 개정세법이 미칠 영향, 그리고 고려사항을 여러 가지 예시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명할 예정이다. 소제목 2017 세제개혁 개괄 법인과 국제조세관련 세부사항 Pass-through 및 개인납세자 관련 세부사항 주제별 시뮬레이션 및 세무전략 패널 토론: 세제개혁이 이전가격, 주/지방세, 재무제표 보고 상 미칠 영향 및 미국진출시 고려사항 질의응답: 한국 기업들의 미국 내 사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한 검토 및 중장기전략 연사: 박상환 Partner 이경렬 Partner 이웅근 박사 김범준 Partner 김대위 Sr. manager 최원일 Sr. manager Sarah Kim Manager Agnes Lee Manager 참가신청 : 온라인 참가신청 >>&
델라웨어--(뉴스와이어) 2018년 01월 10일 -- 주택 보수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공정한 가격형성을 도모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플랫폼 밥스 리페어(Bob's Repair)가 자사의 가상화폐 토큰인 BOB의 사전 판매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자가주택 및 임대주택 양쪽 모두에 지출되는 개보수 비용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해서 증가하였으며, 2015년에는 총 지출액이 미화 3천400억 달러에 도달했다. 밥스 리페어는 기존의 주택보수 서비스 거래소의 판도를 바꾸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으로 소비자가 직면한 3가지 중요한 문제를 해결한다. 첫째, 사기성 리뷰로 인한 가짜 정보, 둘째, 광고로 발생하는 숨겨진 비용, 셋째, 가격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나쁜 결정을 하고 돈을 낭비하도록 만드는 높은 가격이다. 밥스 리페어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인 프리데릭 프란데키(Frideric Prandecki)는 “밥스 리페어는 세계최초로 블록체인 신분인증 솔루션을 통해 모든 참여자의 신분을 인증함으로써 소비자와 업자 모두가 진실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회사이다. 소비자들에게 업계의
사진 출처: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가 8일 라스베이거스(Las Vegas)에서 열린 ‘CES 2018 (Consumer Electronics Show)’에 참가해 미래형 SUV ‘NEXO(넥쏘)’의 차명과 제원, 주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미국 자율주행 전문기업 오로라(Aurora)와 자율주행 기술을 공동개발하는 ‘현대차그룹-오로라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차명과 제원, 주요기술이 처음 공개된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수소전기차 ‘NEXO(넥쏘)’는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3대 모빌리티 비전 △Connected Mobility(연결된 이동성) △Freedom in Mobility(이동의 자유로움) △Clean Mobility(친환경 이동성)의 실체를 제시한 차량이다. ‘NEXO(넥쏘)’는 차세대 동력인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첨단 ADAS 기술 등이 적용되었으며, 5분 이내의 충전시간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590km 이상(인증 전)의 항속거리를 구현하는 등 현대자동차의 미래 기술력이 집대성된 ‘미래형 SUV(Future Utility Vehicle)’다. 현대자동차는 특히 차세대 수소전기차 ‘NEXO(넥쏘)’를 최우선적으로 활용한 자율주행 기술 상용
사진 : 왼쪽에서 네번째 김권수뉴욕 한인 경제인협회회장 뉴욕 한인 경제인협회(회장 김권수)는 1월 5일 맨해튼 소재 이찌우미 뷔페 레스토랑에서 2018년 신년하례식을 개최하였다.
LG전자가 현지시간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18’에서 인공지능을 탑재한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며 글로벌 선도기업 이미지를 굳힌다. CES는 3900여기업이 참여하고 150여 국가에서 약 19만명의 관람객이 찾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회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2044㎡ 규모의 부스를 마련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Innovation for a Better Life)’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차별화된 인공지능 가전 △차원이 다른 올레드 TV △초(超)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LG SIGNATURE)’ 등을 소개한다. LG전자는 전시관 입구에 ‘올레드 플렉서블 사이니지’ 246대를 이용해 초대형 올레드 조형물을 구성했다. 길이 16m, 너비 16m, 높이 6m 규모의 올레드 협곡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표현했다. LG전자는 올레드만이 가능한 완벽한 블랙 표현과 곡면 디자인으로 빙하, 폭포, 협곡 등 대자연의 모습을 선보여 관람객들이 압도적인 화질과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또 올레드 협곡에 돌비사의 첨단 입체음향 기술인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를 적용
▶ 역사 2010년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정직하면서도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업이 되자.‘라는 기업목표를 가지고 오픈한 짱닭치킨 사가정 본점은 18평 규모로 하루 매출 100만원, 월 매출 3,000만원을 달성하고 있다. 저렴하지만 맛있는 치킨과 모던하면서도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 인테리어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치킨을 즐길 수 있는치킨전문점이다. ▶ 가맹점수 현재 수도권 직영점을 포함해서 33개 (사가정점, 중화점, 신내점, 하월곡점, 대방점, 신림점, 봉천점, 난곡점, 신대방역점, 신금호점, 외대점, 상계역점, 신대방2호점, 창동점, 우장산롯데캐슬점, 자양점, 가산점, 광명점, 광명2호점, 포천송우리점, 포천점, 오산궐동점, 부천원종점, 양주고읍점, 안양석수역점, 의정부용현점, 안산와동점, 성균관대점, 화성향남점, 성남태평점, 성남모란점, 성남도촌점)이 있으며, 수도권 이외의 가맹점은 10개 (천안상명대점,천안단국대점, 천안신부점, 서산해미점, 순천향대점, 천안선문대점, 전주송천점, 전남구례점, 전남목포점, 대구테크노단지점)이 운영 중이다. ▶브랜드소개와 전망 짱닭치킨은 중저가형의 저렴하고 다양한 메뉴구성으로 고객들의 제품
1. 성공에서 비롯된 자만 단계 프랜차이즈업종 규모에 따라 입점 가능 매장이 50개 또는100개 이상 되는 이 시점에서 기업들은 성공에 도취돼 있다. 이때부터 프랜차이즈기업은 점점 퇴보의 길로 접어든다. 성공에 있어 그들의 전략도 주효했겠지만 홍보 또는 운이나 호의적인 환경 역시 간과 할 수 없는 법. 오히려 성공하는 리더들은 성공 시점에서 `내가 혹시 운이 좋아서 잘된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한다. 기업의 성공을 스스로 과소평가한다고 손해 날 일은 없다. 오히려 그 반대. 스스로 성과를 과소평가했다면 그 기업은 계속 추진력을 얻기 위해 노력할 터. 허나 정말 운이 좋아 지금껏 성장세를 유지해온 기업이라면 이런 거만한 태도가 바로 몰락으로의 입문을 의미한다. 2. 원칙 없는 가맹점 확장 단계 일시적 성공계도의 프랜차이즈기업은 더 많은 매출을 내고 싶고, 더 많은 매장을 내고 싶고, 더 인정받고 싶다. 게다가 몰락의 1단계를 지난 이 기업은 이미 성공에 대한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다. 이 때문에 몰락의 2단계에 접어든 기업은 원칙 없는 가맹점 확장을 추진한다. 과거에 단 한 번도 기업이 몰두하지 않았던 분야, 경쟁상대보다 비교우위가 전혀 없는 외식업 판매업 서비
한국 프랜차이즈가 미국에서도 효율적으로 가맹 사업 및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프랜차이즈ERP연구소가 한국 프랜차이즈 미국 진출을 위해 27일 뉴욕경제신문과 MOU 체결했다고 밝혔다. 뉴욕의 한인경제 신문인 뉴욕경제신문과 프랜차이즈 경영 컨설팅 및 교육기관인 프랜차이즈ERP연구소가 한국 프랜차이즈 기업의 미국 진출을 위한 지원과 미국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된 미주 기업으로 재탄생 시켜서 미국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하고 모국 한국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는 커다란 목표를 위한 MOU 체결을 하였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정보 교류와 시설의 공동 활용 등 상호 협력을 통해 한국 프랜차이즈를 미국에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키기 위해 체결되었다. 양사는 한국 프랜차이즈기업의 미국내 마스터 프랜차이즈 및 가맹점 유치 활성화 방안과 지사및 가맹점 관리 및 운영의 효율적인 방안을 위해 프랜차이즈ERP구축 또한 모색할 계획이다. 뉴욕경제신문은 미국 내 한국인 40만명 내외가 비즈니즈하고 있는데 이 중 25% 정도가 업종 변경을 희망하고 있으며 한류 영향으로 미국인들에게 한국인 친구가 적어도 1명 이상 있어 한류타운 문화가 활성화 되고 있어 체인화 된